웹 애플리케이션
통칭 웹앱은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기존 애플리케이션에 비해 인터넷만 있고 설치가 필요없다는 관점에서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데 웹메일/전자상거래
인터넷 게시판, 블로그 등등에 다양한 기능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이란?
- 동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웹
-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사용이 가능 설치가 필요없다.
-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또한 사용할 수 있음
네트워크
컴퓨터가 인터넷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기술을 통해 인터넷 공급업체(feat SK, KT, LG U+)에서 제공하는 ISP/라우터를 통해서
연결이 되어 있어야지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짧은 범위 내의 인터넷이 LAN이고 이것들이 수백 수천개 이상 모인 세계적인 네트워크망
WAN이 구성된다고 볼 수 있을것이다. 인터네트워킹 시스템은 양쪽 네트워크에 대해 서로 다른 물리적으로 기능적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인터네트워킹
인터넷의 어원은 작은 네트워크간의 연결이 모인 인터네트워크에서 유래가 되었다 현재 우리가 통칭하는 인터넷은 전세계가 모여서
인터네트워킹 하는걸 말하고 있다.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이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이미 정의해둔 약속된 통신 규칙으로 OSI 7 계층 모델에서 수행되는 프로토콜은
각 계층마다 독립적이다. 만약에 서로간의 규칙이 다르다면 실 사용에 문제가 생길것이다.
주소
실제 우리가 사는세상에서는 장소를 찾기 위해 주소가 있는것 처럼 인터넷 세상도 이 장소가 어디인지 식별하기 위해
IP 주소라는 체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MAC주소라는것도 있는데 이는 기기 제작시에 제조사에서 할당해주는 고유 시리얼로
실질적으로는 IP주소와 MAC 주소를 조합해서 통신이 가능하다.
패킷
각 기기간의 통신에는 회선교환 또는 패킷 교환 방식이 보편적인데 통화의 경우는 회선 교환을 컴퓨터의 경우는 최대 여러대의 장치와 동시 통신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패킷을 통해 순차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했다. 패킷은 제어정보와 사용자 데이터로 이루어져있다.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송신호스트와 수신호스트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 받는데 사용하는 정보 위주의 규약 즉 프로토콜이다. 흔히 IP라고 한다.
현재 표준 프로토콜은 IPv4와 IPv6인데 v6의 경우는 v4의 아이피 고갈로 인하여 대체적으로 범위를 늘려 만들어진 비교적 최신 프로토콜이다.
IPv4(32Bit):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32비트로 구성 하지만 사용자의 증가로 인해 주소 고갈의 위험성으로 차세대 프로토콜이 등장함.
IPv6(128Bit): 위의 v4를 대체하기 위해 나온 프로토콜 128비트로 이루어져있고 v4에 비해 방대한 아이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서브넷 마스크
부분망이라 부르는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를 나눈 작은 네트워크의 조각으로 32비트 숫자를 이용해 주소를 마스킹 한다.
네트워크를 작은조각으로 나누어서 효율적으로 성능을 개선하고자 하는 개념의 서브네팅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