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

부트캠프 수료 후에 스터디 모임을 개최해서 월, 수, 금 주기적으로 스터디를 개최하기로 했습니다. 모임에 참가해주신 스터디원 여러분 환영합니다! 정기 스터디 모임 1회차에는 리눅스에 대한 스터디를 진행했는데 리눅스 기본 설정과 함께 SSH 설치와 NGINX 설치를 수업 내용으로 채택했습니다. 리눅스 컴퓨터 OS 커널의 일종인 리눅스 커널, 또는 리눅스 커널을 사용하는 운영체제 [WIKI] 리눅스 운영체제는 수없이 많이 존재하는데 기업 또는 재단에서 개발한것부터 또는 개인이 목적을 가지고 개발한 것 등 개인과 기업은 목적에 따라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물론 리눅스 중에는 무료만 있는건 아닙니다. 저희는 이번에 스터디를 진행하기 위해서 우분투를 선택했습니다, 우분투를 선택한 이유는 몇가지 있습니다. ..
정말 오랜만에 블로그에 회고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11월부터 거의 바쁘게 달려왔고 이제야 한숨을 돌리게 되었네요 물론 냉혹한 취업 전선이 이제 시작이겠지만요... 약 2개월동안 저는 2가지의 프로젝트를 경험했습니다. [프리 프로젝트] StackOverFlow의 클론 코딩인 [ UnStackOverFlow | 10/20 ~ 11/07 ] [ ✨ UnStackOverFlow 깃허브 바로가기 ] [메인 프로젝트] 기획 설계부터 개발까지 팀 프로젝트로 한 codeTech Project [ codeTech | 11/08 ~ 12/07 ] [ ✨ codeTech 깃허브 바로가기 ] 정말 재미있는 경험이었습니다 저 자신이 프리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기분 그리고 끝내고 나서의 기분 메인 프로젝트도 시직 하기 ..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다시 읽는다. [ 에밀 파게 ] 공부는 늦추어도 안 되고 성급하게 해서도 안 되고 평생 꾸준히 해나가야 한다. [ 율곡 이이 ] 토비의 스프링 3.1 세트 [ 💸구매 ]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강의 구매로 일단 구매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좀 예전 방식이 있어요 Clean Code [ 💸 예정 ] 한 권으로 읽는 컴퓨터 구조와 프로그래밍 [ 💸 예정 ] 프로그래머의 뇌 [ 고민 중 ] 리팩터링 2판 [ 고민 중 ] 클린코드 먼저 읽어보고 그 후에 구매해서 읽어볼 예정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 예정 ]
백엔드 부트캠프를 진행한 지 벌써 3개월 지났습니다. 하... 정말 어렵더군요 아 이게 바로 스프링의 맛인가? 아직도 몇개의 부분은 이해가 안 가서 좀 더 복습을 해보고자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배우는 과정을 통해서 스프링의 진가를 알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스프링을 어느정도 활용이 가능하다고 물어본다면 그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많이 부족한점을 깨닫고 좀 더 스프링에 대해서 보강하고자 합니다. 그래서 토비의 스프링 책을 구매했고 저번 주 주말에 도착해서 확인 해봤는데 무지막지하게 두껍더군요 그래도 차근 차근 개념을 익혀가고자 합니다. 그리고 인프런에서 김영한 님 스프링 강의를 이미 구매했는데 안 듣고 있었습니다 이것도 들으면서 스프링과 친숙해져야 하겠습니다... Keep 있는가 싶기는 하지만 그래도..
벌써 어느새 두달간의 부트캠프 과정이 끝나간다... 뭐지 왜이리 빠른거지..? 무엇을 배웠는가.. 느끼고 배운점 섹션 2에서는 컴퓨터 공학 지식부터 알고리즘 그리고 스프링의 기초에 대해 학습을 진행했고 이를 통해서 좀더 개발자에 다가갈 수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의 원리에 대해서 알아야 하고 그 컴퓨터의 원리는 바로 컴퓨터 사이언스 즉 CS라고 불리는 지식을 알고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언어는 컴퓨터 로직에 우리가 지시를 전달하기 때문이다. 비록 깊은 CS 지식을 공부하지는 못했지만 기본적으로 개발자가 알고 있어야 하고 쓸 수 있는 지식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알고리즘이 꽤나 어려웠다 수학을 잘하지 못했던 아니... 못했던 수포자 이기 때문이다. 컴퓨터..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AOP) 스프링에서 핵심관점으로 다루며 또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에서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AOP는 Aspect 라는 것을 기반으로 부가기능을 모듈화 해서 핵심적인 비즈니스 로직에서 분리하여 재사용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핵심 기능: 업무 로직을 포함하는 기능들을 의미 부가 기능: 핵심 기능의 로직을 도와주는 부가적인 기능들을 의미 상단의 이미지를 통해 알 수 있는데 AOP는 즉 각 클래스에서 중복되는 코드를 관점으로 나누어서 그 관점을 기준으로 각각의 모듈로 나누는 방식이라 할 수 있을것이다. AOP를 통해 각 관점별로 나누어진 모듈을 통해서 소프트웨어 개발을 한다면 중복되는 코드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유지 보수 측면에서 크나큰 이점이 생긴다. ..
라테르39
'Education'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