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mework/Spring

POJO 는? POJO는 순수한 자바 객체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스프링에서 도입된 핵심 개념중 하나이다. 이 개념이 정립되게 된 이유는 전에도 말했던 EJB와 관련이 있다 EJB를 사용했을 때 어떠한 특정 기술에 종속되게 된 자바 코드는 당연히 유지보수가 어렵고 확장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된다면 자바의 강점인 객체지향의 장점을 살릴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개발자들 사이에서 예전에 사용하던 순수한 자바 객체 지향성을 사용하던 시절로 회귀하자는 개념이 있어서 등장하게 되었다. POJO 를 사용하는 이유는 이미 위에서 서술한대로의 이유가 대부분 이긴 하지만 다시 재정리 하자면 이러하다. 특정한 환경에 종속적이지 않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며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는 코드를 적성할 수 있다. 특정 종속 코드를..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이란? 클래스 간의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의존 관계가 고정되지 않게 느슨한 결합 관례를 유지해서 유연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념이다,만약에 강한 결합도를 가지게 된다면 코드를 유지보수하기 위해서 변경해야 하는 것들이 많아질 것이다. DI에 대해서 정리하자면. 제어의 역전(IoC)의 개념을 구체화시킨 것이 스프링의 DI다. 깔끔한 코드 작성이 가능해진다. 객체들 간의 결합도가 낮춰진다. 객체들 간의 느슨한 결합을 통해서 요구 사항의 변경에 있어서 유연하게 수정할 수 있게 된다. 테스트 작성에 있어서 보다 용이해진다. 예제 코드를 통해 의존성 주입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Component 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스프링은 뭘까? 스프링은 자바언어를 기반으로 한 웹 프레임워크로 현재 제일 많이 사용하는 웹 프레임워크 표준이다. 스프링의 시작 스프링의 시작은 EJB(Enterprise Java Bean)의 문제점에서 부터 시작 되었다. EJB는 대규모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술로 한때 표준으로 사용 했다. 하지만 사용하는데 많은 어려움(강한 결합, 높은 가격, 무거움) 등의 문제가 존재했다. 이때 스프링의 창시자 "로드 존슨"이 책을 하나 출간하게 되는게 이 책의 내용이 현재 스프링의 핵심 개념 즉 기반 코드가 들어 있었다. 책 출간 후에 유겐 휠러, 얀 카로프가 로드 존슨에게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제안하게 돠었고 지금의 스프링이 탄생하게 되었다. 스프링의 의미는 시린 겨울인 EJB를 지나..
라테르39
'Framework/Spring'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